Andreas Schirmer(팔라츠키 대학교, 체코)
1. 먼저 한국학진흥사업단 뉴스레터 독자들을 위해 자기소개를 부탁드립니다.
저는 체코에서 교수로 재직 중이고, 팔라츠키 대학에서 한국학 분과를 책임지고 있는 오스트리아인 한국학자 Andreas Schirmer라고 합니다. 원래 저는 독문학과 철학을 전공하였고, 제 박사학위는 독문학으로 취득하였습니다. 그러나 당시 비엔나에 살고 있던 한국인들과 교류하면서 한국에 대한 관심을 가지게 되어 생각지도 못했던 길로 접어들었습니다. 1990년대 비엔나 대학교의 한국학은 비록 당시에는 정규과정 전공으로 인정받지는 못했지만 이미 놀라울 정도로 잘 발달되어 있었습니다. 당시 한국학 책임자로 근무하셨던 분은 1962년에 오스트리아에 오신 이상경 교수님입니다. 비록 아주 적은 수의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지만 매년 초급, 중급, 고급 과정으로 나누어 한국어를 가르쳤던 선생님이 여러 명 있었습니다. 또한 한국국제교류재단에서 파견되신 몇 분의 객원 교수님의 강의도 들을 수 있었습니다. 이 객원 교수님들 가운데 가장 유명한 분이 바로 시인이신 김광규 님입니다. 결국 저는 여러 출간 프로젝트에서 이상경 교수님을 돕기 시작하였고 도서관 한국학 관련 자료의 분류 및 디지털화를 위해 사서로 고용되었습니다. 1995년도에 “견학 프로그램”을 통해 처음으로 한국을 방문한 이후 몇 차례 더 한국을 방문하였는데요, 매번 여름이었습니다. 2005년도, 이 프로그램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제한 연령에 거의 가까워 올 무렵, 한국 정부 초청 장학생으로 선발되어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박사과정 입학허가를 받았습니다. 제 계획은 문학에서 문화인류학으로 전공을 바꿔 한국의 현대구술문학(구체적으로는 농담담화)을 주제로 논문을 쓰는 것이었는데, 결국은 국어국문학과에서 고전구비문학을 하게 되었습니다. 박사과정 수료 후 저는 한국문학번역원과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대학원 교수로 이미 너무 바쁜 상황이 되었습니다. 그런데 2010년 비엔나 대학교의 고용 제안을 수용해서 한국을 떠나게 되었습니다. 뒤돌아 보면 안타까운 결정이었습니다. 오래된 옛 지혜를 생각했어야 했는데 말이지요 – “예언자는 고향에서 높임을 받지 못한다.” 비엔나 대학에서는 2017년까지 강의하였습니다. 그런데 2015년부터 비엔나 북동쪽으로 약 170 km 정도 떨어진 체코의 올로모우츠가 제 활동의 무게중심이 되기 시작하였습니다.
2. 현재 체코에서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이나 한국학 연구, 교육 현황은 전반적으로 어떠한가요?
체코의 한국학은 뿌리가 깊습니다. 제2차 세계대전 중, 프라하가 독일 보호령의 수도였을 당시, 이미 프라하의 카를 대학교에서는 한국어를 가르쳤습니다. 그때의 선생님은 (오스트리아에서 유학한 고고학자로 1948년에 북한으로 간) 한흥수였는데 한 학생을 발굴하여 그와 함께 아주 많은 성과를 냈습니다. 그 학생이 알로이스 풀트르 교수님으로 그 후 프라하 최고의 한국학자가 되었습니다. 한흥수의 이야기는 매우 흥미로운데, 더 찾아보길 원한다면 구글에서 한흥수의 이름과 프라하를 검색해 보세요.
오늘날까지도 체코에서는 그 작은 언어권 치고는 놀라울 정도로 한국어에서 체코어로 번역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요약하자면 한국과 체코 사이에는 수십 년간 쌓아온 매우 특별한 관계가 있다는 말입니다. 그러나 물론 지금 체코 젊은이들의 한국에 대한 치솟는 관심은 이런 과거에서 비롯된 관계로만 설명될 수는 없을 것입니다. 왜냐면 이제는 글로벌한 현상이니까요. 체코는 아마 현재의 한류에 대한 열광에서도 유럽의 선두에 위치하고 있을 것입니다. 한류가 그 비밀이기는 하지만 이제는 단순히 K-팝이나 K-드라마에 국한된 것은 아닙니다. 저희 응시자들 다수는 이미 십대 고등학생 시절부터 한국에 대한 관심을 키우기 시작했고 입학할 무렵에는 이미 여러 K-부문들 중 특정 분야의 전문가가 되고, 단순히 아이돌에 열광하는 것에서 벗어나 여러 방면에서 “감식가” 수준에 도달했습니다. 누군가는 한국 웹툰에 빠져있고, 누군가는 버라이어티 쇼나 또는 (이제는 종영된) 개그 콘서트에 중독되어 있습니다. 많은 학생들이 한국어를 가르치는 유튜브 채널을 구독하고 있습니다. 체코에서 한국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있는 가운데 저희 한국학과 지원자들은 사실상 이를 확인시켜주는 빙산의 일각일 뿐입니다. 왜냐하면 한국에 열광하는 모든 이들이 한국학을 선택하지는 않기 때문입니다. 지난 몇 년간 저희 올로모우츠에는 해마다 200명이 넘는 지원자가 몰립니다. 그리고 물론 프라하의 동료들도 저희와 마찬가지로 자리가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거절해야만 하는 곤란한 상황에 처해 있습니다. 한국학이 잘 발달한 두 곳이 있다는 것은 체코 같은 규모의 나라로서는 비교적 괜찮다고 할 수 있습니다. 프라하와 올로모우츠 외의 다른 곳에서도 한국어 강의가 열리고 있습니다. 또한 한 고등학교에서는 한국어가 필수 제2외국어 교과의 선택과목 중 하나로 채택되어 있습니다. 여러 다른 학교들에서도 여러 가지 방식으로 한국어 수업이 제공되고 있습니다. 물론 어느 정도는 한국 기업 활동이 체코 사람들이 한국인과 대한민국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도록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당장 프라하 국제공항만 봐도 그렇습니다. 그곳에서는 모든 안내가 4개 국어로 표시되고 있는데 과연 어떤 언어가 제공되고 있을까요? 체코어, 영어, 중국어 그리고 바로 한국어입니다!
3. Palacký University Olomouc에서 진행되는 한국학 연구, 교육 활동 및 그 결과나 성과에 대해 소개를 부탁드립니다.
올로모우츠 팔라츠키 대학에서 처음으로 한국어 강의가 이루어진 것은 2003년도였습니다. 그리고 2015년, 마침내 아시아 학문 분과에서 응용경제학부와 협동과정으로 비즈니스를 위한 한국학 학사학위 프로그램을 출범시키게 되었습니다. 2022년에는 한국학이 어떠한 경제학 요소도 남기지 않은 완전한 독자적인 전공으로 거듭나게 되어, 이미 훨씬 오래전부터 확고하게 자리 잡은 일본학이나 중국학과 마찬가지로 언어학, 문화학 및 지역학과 결합된 성격으로 커리큘럼을 구성하게 되었습니다. 2022년 가을부터 이 독자적인 한국학 과정이 본격적으로 출범되었고, 이전의 비즈니스를 위한 한국어 과정은 2023년 가을부터 별도의 학사과정으로 병존할 예정입니다. 그리하여 2023년 가을부터는 한국학과 관련한 두 가지 학사과정을 제공하게 되어, 단순히 수강생 숫자를 두 배로 늘리는 것이 아니라 각 강의 당 수강인원을 줄여 수업의 질을 높이고 가르치는 수준도 좀 더 심화할 수 있도록 나아가려고 합니다. 2023년 가을부터 저희 한국학 강사진은 다섯 명의 교수(한 명이 출산 휴가 중이기는 합니다만)와 다수의 강사들(이 가운데 두 명은 조만간 교수 지위로 승격될 것으로 봅니다)로 구성됩니다. 2024년에는 가칭 “실용 한국어”로 3번째 학사과정을 출범하려고 준비 중입니다. 더 나아가 저희는 석사과정을 활발히 잘 진행하고 있고 현재 두 명의 박사 과정생이 있으며 곧 세 번째 박사과정생이 들어올 것 같습니다. 연구의 측면에서 보자면, 교수진 대부분은 언어학, 언어습득 혹은 번역학 전공자들이기는 하지만 전근대사나 현대사, 문화인류학 및 전근대 문학에 관한 연구성과도 있습니다. 커리큘럼 구성에서 보면 언어 습득이 중심에 있기는 하지만 역사, 문화 및 사회에 관한 여러 가지 다양한 수업을 추가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저희 커리큘럼은 한국학 선생님들 강의로만 짜여 있는 것이 아니고 학생들이 동아시아학 학제적 연구를 위해 개설된 수업도 듣도록 하고 있습니다. 전체적인 그림 중 또 다른 한 부분은 외국에서 객원으로 오는 동료들의 강의입니다. 저는 저희 학생들이 때때로 새로운 대안 지식을 통해 지평을 확장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자부심을 갖고 있습니다. 2018년부터 2020년까지 진행되었던 씨앗형 초기 단계 사업 덕분에 그리고 EPEL(AKSE가 운영하고 AKS가 재정 지원) 및CEEPUS(중동부 유럽대학 연구 교환 프로그램) 네트워크를 통하여 저는 해마다 십여 명의 객원교수들을 올로모우츠로 초청할 수 있었습니다.
4. 2022년부터 해외한국학씨앗형 발전단계 사업을 참여하면서 현재까지 과제는 어떻게 진행되고 있으며 현장에서 겪는 어려움이 있다면 무엇일까요?
사업이 시작된 지 이제 겨우 7개월이 지났을 뿐이고 이 프로젝트는 다양한 부문과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뭐라 말하기에는 아직 시기 상조인 듯합니다. 이 프로젝트 관련 저희가 주력하고 있는 첫 번째 이벤트, 집중적 “디지털 인문학 도구” 워크숍이 우리 올로모우츠 학생들, 프라하에서 온 학생들 그리고 포츠난에서 온 학생들이 함께 한 가운데 개최되었습니다. 여러 다양한 부문들 중 하나가 제 연구분야인 “한국에서의 오디오북 시장과 책 낭독 문화”입니다. 이 주제는 제가 몇 년 전부터 관심을 갖고 있던 주제였는데 그동안 제대로 연구할 수가 없었습니다. 이것은 디지털화와 깊은 관련이 있고 디지털 인문학과도 연계될 수 있기 때문에 이제 저에게는 이 주제를 탐사할 수 있는 좋은 “계기“가 생긴 것입니다.
5. 해외한국학사업을 진행하면서, 혹은 앞으로 꼭 이루고 싶은 장기적 목표나 바람이 있다면 무엇일까요?
모든 학습 세대는 (적어도 외국어 습득에 있어서는) 이전 세대보다 더 쉽게 배울 수 있습니다. 물론 기대수준도 같이 높아지기는 하겠지만요. 디지털 인문학은 확실히 한국학 발전에 대단히 큰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디지털화는 다방면에서 활력을 주고 있습니다. 한때 일제강점기 시대 신문을 보려면 사진자료화된 마이크로필름의 도움을 받아야 했던 날들이 있었음을 저는 아직도 기억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요즘에는 모든 정보가 잘 가공되고 검색이 가능하도록 디지털화되어 대단히 큰 도움이 됩니다. 체코에 있는 저희가 이 방대한 데이터를 디지털화하는 데 기여할 수는 없겠지요. 하지만 적어도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은 배움이나 연구 두 방면에 학생들이 유용한 최신 도구(tool)를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게 하는 것입니다. 또 저희가 달성할 수 있기를 바라는 것은 선생님들도 교수법 차원에서 이 도구에 대한 활용 능력을 보유하고 있어야 한다는 겁니다.
6. 저희 질문에 대해 답변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마지막으로, 한국과 체코의 한국학 연구를 위해 함께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이 있을까요?
또한 양국 대학 간 자매결연이 더 많이 이루어진다면 양측 모두에게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조금 주제넘지만 한 가지 바람을 더 말하자면 자료 접근 권한에 관한 것입니다. 저는 이 문제에 대해 앞으로도 꾸준히 문제 제기를 하려고 합니다. 한국학과 같은 분야에서 부유한 지역과 덜 부유한 지역 사이의 가장 심각하고 비생산적인 차별은 데이터베이스 접근 권한에서 발생합니다. 저희 학생들이 좋은 자료가 있는데도 무료 다운로드가 불가능해서 그 자료를 포기하는 걸 보게 되면 저는 정말 마음이 아픕니다. 때로는 학생들이 쓸만한 참고문헌이 너무 부족해 제가 대신 (아직 접근 권한을 가지고 있는) 비엔나 대학도서관을 찾아야 할 때도, 이런 차별적인 현실이 자각되어 좀 화가 납니다. 그곳의 자료들로 제 학생들을 도울 수 있는 경우도 많이 있었지만, 비엔나 도서관이라고 하더라도 한계가 있기 때문에 관련 자료가 항상 있는 것은 아닙니다. 저는 전 세계의 학술적인 발전을 위하여 막대한 수익을 누리며 자료 접근권을 통제하고 있는 DB 제공회사들의 권력이 제한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러고 나서 세계 모든 대학들에게 동등하게 전체 데이터 베이스에 대한 완전한 접근 권한이 주어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는 이것을 실현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저는 좀 순진하지만 한국학중앙연구원 같은 기관이 한국학 관련된 자료(책이나 논문)를 포함하는 모든 데이터베이스(EBSCO나 RISS 등등)를 구독해서 플랫폼을 만든 후에 해외 한국학자들에게 VPN 접근 권한을 부여하면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
Meeting with Korean Studies
Scholars Abroad
Andreas Schirmer
Palacký University Olomouc (Czech Republic)
1. Please introduce yourself to the readers of the KSPS Newsletter.
I am Andreas Schirmer, an Austrian Koreanist working in the Czech Republic as a professor, helming our Korean Studies section. I earned my PhD in German Philology. My interest in Korea awoke through contact with Koreans living in Vienna. In the 90s, Korean Studies were already astonishingly well developed at the University of Vienna, even though no formally acknowledged study program existed in those days. The two Austrians teachers had lived in Korea, one as a priest, one as a medical doctor, and both had done genuinely Koreanist research. As head of Korean Studies served Sang Kyung Lee, a Korean who had come to Austria in 1962. Various Koreans were teaching Korean to extremely small numbers of students (nonetheless three different levels every year), and not least did we enjoy the additional input of several guest professors, sent by the Korea Foundation. The most prominent of these was Kim Kwang Kyu, the eminent poet. Ultimately, I started to assist Sang Kyung Lee with various publication projects and got employed to catalogize and digitalize our library holdings thanks to Korea Foundation funds. After a first “study tour program” in 1995, I visited Korea several times, always in summer. In 2005, when I had almost reached the age limit for this, I went to Korea on a government scholarship and was admitted to SNU. My original dream was to write a dissertation on Korean joke telling, switching from philology to cultural anthropology, but I ended up in the oral literature section of the Korea Language and Literature department. After my “suryo,” the final exam after completion of all course work, I was already very busy with teaching both at the Korea Literature Translation Institute and the HUFS Graduate School of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However, I left these good positions to accept a job offer at the University of Vienna in 2010, not mindful of the old wisdom that the prophet has no honor in his country. I toiled in Vienna till 2017. However, from 2015 Olomouc, about 170 kilometers northeast of Vienna, started to become my center of gravitation. Currently, I am there on a tenured position, but still live in Vienna or on a farm in Lower Austria.
2. In the Czech Republic, what is the current interest in Korean culture or what is the overall situation regarding Korean Studies research and education?
In the Czech Republic, Korean Studies have deep roots. Korean was taught at Charles University in Prague already during WWII, when Prague was the capital of a German “protectorate.” The teacher was Han Hŭng-su, and he found a student with whom together he could be very productive, Alois Pultr, who later became the leading Koreanist in Prague. It is quite clear that these two communicated in German, in which language Han was proficient. This is a great story that has fascinated me and several other colleagues. Google his name and “Korean and Central Europeans” to find more.
Up to this day, the Czechs are very productive in translation from Korean––amazing overachievers when considering the small size of the language community. Young Czechs’ interest in things Korean is skyrocketing, and this cannot be explained by looking at local factors, of course. Global hallyu is the secret, and this is not limited to K-pop and K-dramas. Many of our applicants start to develop their interest in Korea already as teenagers in high school, and some of them become experts in very specific branches of the various “K-…” departments. They move on from idol adulation to very specific interests, becoming experts and connoisseurs. Some get engrossed in Korean webtoons, some start to watch variety shows or get addicted to, say, the (currently dissolved) Gag Concert. Many are subscribers of one of those YouTubers who teach Korean in one way or the other. All in all, there is much interest in Korea and our applicants only constitute a “tip of the iceberg,” because not all of those who are Korea enthusiasts opt for studying Korean. But our numbers are impressive, nonetheless. Over the past years, we in Olomouc had more than 200 applicants annually, and of course the colleagues in Prague are also in the same awkward situation that they need to reject many candidates because the capacities to accommodate them all are not there. But having two well developed Korean Studies places for a country of the size of the Czech Republic is very nice. Moreover, there are courses in Korean offered at various other places. Of course, to some degree also the visible presence of Korean businesses, with Hyundai Motors a big corporate investor, contributes to the positive image of Korean and South Korea in the eyes of Czech people. Just consider that at Prague Airport you have every sign in four languages. Guess which? Czech, English, Chinese––and Korean!
3. Please introduce Palacký University Olomouc’s Korean Studies research and education activities, as well as the results or outcomes.
Korean was first taught at Palacký University Olomouc in 2003. Finally, in 2015, the Department of Asian Studies launched an undergraduate degree program in Korean Studies for Business, in cooperation with the Department of Applied Economics. In 2022, our Korean Studies transformed into a fully emancipated major without any remaining ingredient of economics, just offering the same combination of philology, cultural studies, and area studies that characterizes the already much longer established Japanologist and Sinologist branches of the department. In 2022, only this new “Korean Philology” track was available for the freshmen, but the old track (Korean for Business) will be re-introduced as a parallel track together with the new, so that from autumn 2023 we will offer two BAs for Korea-related studies. Instead of merely doubling the number of accepted students, however, but will rather advance by having smaller groups for our learners, enhancing the quality and intensity of teaching. From autumn 2023, our Korean Studies faculty will comprise five professors (one on maternity leave, however) and several lecturers (two of them might be upgraded to professor status in the foreseeable future). In 2024, we will even introduce a third one, with the tentative title “Practical Korean.” Moreover, we have a thriving MA program, and we even have two PhD students, as of now, and quite probably will have a third one. As for research, my colleagues are mostly in linguistics, language acquisition, or translation studies, but there is also research on history and literature.
In terms of teaching, language acquisition is at the center, but we have a variety of additional classes on history, culture, and society. That part of our curriculum is not covered by Korean Studies teachers only, our students are also required to take classes that are designed as interdisciplinary (East) Asian Studies courses. Another part of the full picture is input from colleagues who come from abroad as guests. I take pride in having made sure that our students, at least those who are most eager to expand their horizons, get alternative input. Thanks to the Beginning Track Seed Program conducted from 2018 to 2020, as well as the European Program for the Exchange of Lecturers (administered by Association for Korean Studies in Europe and funded by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and the Central European Exchange Program for University Studies’ network of Korean Studies in Central and Eastern Europe, I was able to invite up to ten colleagues each year to Olomouc for guest lectures.
4. While participating in the Seed Program for Korean Studies (Advanced Track) since 2022, how has the project been going and what difficulties have you faced thus far?
This is too early to tell. We are now seven months into the project, and the project consists, naturally, of various parts and packages. Our project has enjoyed its first flagship event, a very intensive “digital humanities tools” workshop with our students, students from Prague and students from Poznan. One other part is my own study of “talking books” in Korea, which is a topic that intrigued me for years but that I never researched properly. Now I finally have a good “excuse” to explore it, because it has a lot to do with digitalization and can be well related to Digital Humanities.
* Project Title: Digital Humanities (DH) for the Promotion of Korean Studies in Europe: DH Tool Utilization Measures for Next-Generation Korean Studies Scholars
5. What long-term goal or wish do you hope to be achieved during or after this Seed Program for Korean Studies?
Every learning generation has it easier to learn than the previous one (at least this applies for languages), but of course also the demands increase. Obviously, Digital Humanities are contributing enormously to the development of Korean Studies. Overall, digitalization is giving us a boost in many ways. I still know the days when you would work your ways through a colonial times newspaper by the help of photographed “fiches,” while these days brilliantly processed and searchable digitalized material is available online. We in Olomouc cannot contribute to this by digitalizing large sets of data. But what we can do is that we can make sure that students and teachers apply useful tools both for learning and research and that they are up to date at least in the given moment (the pace of development is so fast, of course, that more cannot be guaranteed).
6. Thank you for your detailed answers to our questions. In conclusion, what work can be done together in Korea and the Czech Republic for Korean Studies research?
Any cooperation is good, but out of friendship alone no academic project will materialize. Financial support is needed, and more cooperative project formats need to be applied for. It is not that they are inexistent at all, but they are not sufficient.
Also, there should be more university partnerships, more hands-on, working level cooperations between departments.
As for one matter that may be above my pay grade but that I still complain about indefatigably: In a field like Korean Studies, it is deplorable to see a contra-productive discrimination between the richer and the less rich places just by the degree of access to the expensive big databases. It makes me sad to see my students giving up on good material because they cannot download it for free at our library because this library cannot afford the exorbitant fees payable for the fuller “Taylor & Francis,” “EBSCO,” “RISS,” etc. packages. I am angry that I need to make up for this, browsing the holdings of the University of Vienna, where I have access to very well-equipped libraries, so that my students use more relevant and more recent literature. Well, even the wealthy University of Vienna has its limits, so that getting access to the latest scholarship on the given specific topic needs pestering the friends of friends. In my view, the right of companies to make so much profit from charging for university’s access to those database library profits should be curbed, in the first place, for example by the constitutional right to receive education (as both Austria and the Czech Republic guarantee). In other words, all universities would be given the same full access to all the databases, by law. But I concede that this is not very realistic, and so I wonder, naively, whether South Korea could not create one virtual super-rich central library for the sake and worldwide use of Koreanists, providing them with VPN access, so that no “poorer” Koreanist must write their thesis missing out on essential literature just because the purchase would cost a fortu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