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o-Confucianism and Science in Korea: Humanity and Nature
(Routledge, 2021.02.)
Sang-ho Ro
(이화여자대학교)
이 책은 한국학진흥사업 한국고전영문번역사업의 일환으로 정약전(丁若銓)의 『자산어보(玆山魚譜)』를 영역하는 작업에서 출발하였다. 번역의 과정에서 저자는 영어권 독자들에게 정약전의 학문적 성과와 방법론을 심도 있게 소개하기 위해서 그가 살던 시대의 지적인 성취와 실험들을 함께 담아내고자 하였고, 책은 정약전이 살던 조선 후기 지성계의 풍경을 파노라마적으로 보여준다. 정약전과 동시대의 지식인들은 인간의 이성(理性)과 감각(感覺)을 어떻게 과학적 지식의 탐구에 사용할 것인가를 진지하게 고민하였다. 조선 후기의 과학사, 과학철학을 인식론의 관점에서 검토함으로써 『자산어보』라는 한국의 고전을 낳은 18세기, 19세기 초반 지성사의 역동성과 실험정신을 재조명한다.
정약전은 왜 자신의 삶의 마지막 시간들을 『자산어보』에 쏟았을까? 서해의 외딴섬에서 아무도 알아주지 않고, 누군가 자신의 글을 읽어주리라는 보장도 없던 상황에서 학문에 외로이 몰두하는 것은 어떤 철학적 신념이 없이는 불가능했을 것이다. 그야말로 불굴의 정신이 남긴 명작이라고 할 수 있는 『자산어보』는 정약전의 개인적 성취인 동시에 그 시대가 낳은 것이었다. 이 책은 정약전을 동시대인들 속에서 조망하고 조선 후기 지성계라는 큰 틀에서 정약전이 사용한 학문 방법이 갖는 일반성과 특수성을 밝히고 있다. 그동안 부정적으로 평가되어 왔던 18, 19세기의 지성계는 정약전을 비롯하여 이익(李瀷), 홍대용(洪大容), 이규경(李圭景), 강필리(姜必履), 빙허각 이씨(憑虛閣 李氏) 등 독특하고 실험적인 인물들을 낳았으며, 이들은 공통적으로 성리학이 강조한 선험지(先驗知)와 인간의 경험지(經驗知), 감각지(感覺知)를 어떻게 융합할 수 있을지 고민하였다. 그중에서도 정약전은 『자산어보』를 통해서 자신만의 독특한 인식론적 실험을 하였으며, 『자산어보』는 그런 의미에서 조선 후기의 실험적 글쓰기의 멋진 전형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책은 『자산어보』의 영역본과 함께 총 다섯 장에 걸친 지성사 논문을 담고 있다. 첫째 장은 도수(度數), 두 번째 장은 명물(名物), 세 번째 장은 농학(農學), 네 번째 장은 『자산어보』, 다섯 번째 장은 방서(方書)를 각각 분석하였다. 조선 후기 지성사의 다섯 사례들은 공통적으로 격물치지(格物致知)의 성리학적 인식론을 공통분모로 하고 있다. 동시에 18세기의 지성계는 성호 이익을 시작으로 한 일군의 학자들을 통해서 예수회 선교사들이 소개한 서양의 철학, 특히 아리스토텔레스-아퀴나스의 철학을 수용하였다. 또한 왕양명(王陽明), 방이지(方以智), 고증학(考證學) 등 명청(明淸) 철학도 전래되면서 이 시기에는 전에 볼 수 없던 역동적인 혁신과 변화가 나타났다. 그리고 그 변화의 중심에는 중국의 고전(古典)을 진리의 유일한 원천으로 보지 않는 탈중화(脫中華), 탈고전(脫古典)의 움직임이 있었고, 조선에 사는 사람들의 이성, 경험과 감각이 과학적 지식 탐구의 방법으로 주목받게 되었다.
결국 이 책은 이러한 18세기의 지적 풍경 속에 정약전의 삶과 『자산어보』를 살펴본다. 일견 그의 글은 어보(魚譜)의 계보를 따르는 듯하지만 정약전은 철저하게 경험주의적 글쓰기에 도전한다. 관찰대상의 길이를 측정하고 그 맛을 보고, 색깔을 묘사하는 것은 감각지에 대한 확고한 신념이 없이는 불가능한 것이었다. 요컨대 『자산어보』는 생물에 대한 관찰과 해부의 책이다. 선험지와 감각지에 대한 시대적 화두에 맞닥뜨려서 정약전은 삶의 마지막 순간까지 자신만의 해법으로 그 답을 찾고자 한 것이다. 백척간두(百尺竿頭)의 상황에서도 꺾이지 않고 한 걸음 나아가려는 불굴의 실험정신이야말로 『자산어보』를 한국의 고전의 반열에 올려놓아도 손색이 없는 이유일 것이다.
따라서 이 책이 『자산어보』를 국내외의 독자들에게 자연사(自然史)적 텍스트로만 소개하는 데 그치지 않고, 조선 후기 지성사를 다시 한번 검토할 수 있는 디딤돌이 되기를 바란다. 조선 성리학에 대한 단순한 이분법적 평가를 넘어서 시대적 과제와 노력들이 갖는 역사적 의미에 천착하고, 이 책을 통해서 조선 후기 지성사가 갖는 세계사적 의미를 보다 많은 사람들과 공유할 수 있다면 더 바랄 나위가 없겠다.
정약전, 『자산어보』, 실학, 합리주의, 경험주의, 명물도수지학, 이익, 이규경, 홍대용, 강필리,빙허각 이씨, 격물치지, 제물론, 서학, 농서.
이 책을 통해서 조선 후기 지성사에 대한 새로운 논의가 시작되고, 해외의 독자들에게 18, 19세기 조선의 지식인들의 노력과 학문이 좀 더 많이 알려지기를 바란다. 또한 한국의 고전에 과학 서적이 있음을 알릴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한국 전통 과학사에 대한 학술서가 영어로 출판되는 경우는 우리 학계의 역사와 역량에도 불구하고 그렇게 흔한 일은 아니다. … 이 점에 비추어 볼 때, 최근 노상호의 이 저작은 한국 전통과학사의 특정 주제에 대해 선명한 주장을 담아낸 보기 드문 영어 논저(monograph)라고 볼 수 있다. … 평자에게 이 책에서 보여주는 조선 후기 새로움에 대한 요소들, 즉 새로운 작물, 기물, 레시피 작성, 감응의 인간-비인간 네트워크 등은 저자가 담백하게 빚어낸 새 술처럼 보인다. 이제 이것을 담을 새 부대가 만들어질 때다.
- 오승현, 「서평: 새 술을 담을 새 부대를 찾아서」, 『한국과학사학회지』 제44권 제1호(2022).
This book began with the translation into English of Jasan eobo (玆山魚譜, “Report on the Fish of Jasan”) by Jeong Yak-jeon (丁若銓), which was funded by the Academic Translation of Korean Texts Program of the Korean Studies Promotion Service. In the process of this translation, the author Sang-ho Ro attempted to also capture the intellectual achievements and experiments of the period in which Jeong Yak-jeon lived in order to introduce Jeong’s academic achievements and methodologies in depth to English-speaking readers. Thus, this book shows in panoramic form the intellectual landscape of late Joseon, in which Jeong Yak-jeon lived. Jeong Yak-jeon and his contemporaries earnestly contemplated how to use human reason (理性)
and the senses (感覺) in the pursuit of scientific knowledge. By examining the history and philosophy of science in late Joseon from an epistemological perspective, the dynamic nature and experimental spirit of eighteenth- and early nineteenth-century intellectual history, which brought forth the Korean classic known as Jasan eobo, is reevaluated.
Why did Jeong Yak-jeon invest the last moments of his life on Jasan eobo? On a remote island in the West Sea, there was no one to recognize his work, and no guarantee that anyone would read his writings. In such circumstances, it would have been impossible to devote himself to such solitary scholarship were it not for some philosophical faith. Jasan eobo, which can be considered a masterpiece of indomitable spirit, was brought forth not only by the personal achievements of Jeong Yak-jeon, but also by the era itself. This book views Jeong Yak-jeon within the context of his contemporaries and sheds light on the universality and uniqueness of the scholarly methods he employed within the broader intellectual framework of late Joseon. The intellectual landscape of the eighteenth and nineteenth centuries, which has thus far been evaluated in a negative light, produced unusual and experimental individuals such as Yi Ik (李瀷), Hong Dae-yong (洪大容), Yi Gye-gyeong (李圭景), Kang Pil-ri (姜必履), and Lady Yi Bingheogak (憑虛閣 李氏), as well as Jeong Yak-jeon. They shared in common their contemplations over how to integrate a priori knowledge (先驗知) emphasized by Neo-Confucianism with experiential knowledge (經驗知) and sensorial knowledge (感覺知) known by humans. Among them, Jeong Yak-jeon, through Jasan eobo, conducted his own unusual epistemological experiment. In this way, Jasan eobo can be considered a marvelous model of the experimentative writing of late Joseon.
This book, spanning five chapters, contains papers on intellectual history, as well as the English translation of Jasan eobo. The chapters, in order, analyze degrees and numbers (度數), names and things (名物), agriculture studies (農學), Jasan eobo, and Daoist alchemy (方書). These five case studies of late Joseon intellectual history share in common the Neo-Confucian epistemology of “the investigation of things and the extension of knowledge” (格物致知). At the same time, Western philosophy introduced by Jesuit missionaries, especially that of Aristotle and Thomas Aquinas, was embraced by the eighteenth-century intellectual world through the group of scholars that started with Yi Ik. Furthermore, as Ming-Qing philosophy, including that of Wang Yang-ming (王陽明), Fang Yizhi (方以智), and “evidential scholarship” (考證學), began to be introduced, dynamic innovations and changes that had not yet been seen began to emerge in this period. Centered around this change, there was also a movement toward “escape from Chinese culture” (脫中華) and “escape from classic texts” (脫古典), in which the Chinese classics (古典) were no longer seen as the sole wellspring of truth. The rationality, experiences, and senses of the people living in Joseon gained attention by way of scientific knowledge exploration.
Ultimately, this book examines Jasan eobo and the life of Jeong Yak-jeon within the eighteenth-century intellectual landscape. Although his writings appear upon first glance to follow the family tree of fish species (魚譜), Jeong Yak-jeon attempted to produce a thoroughly experimentalist work of writing. Measuring the length, tasting the flavor, and describing the colors of the observation subjects would have been impossible without a firm belief in sensorial knowledge. In sum, Jasan eobo is a book on the observation and dissection of living things. Up until the last moment of his life, Jeong Yak-jeon sought an answer the contemporary discourse on a priori knowledge and sensorial knowledge by way of his own solution. It is precisely this indomitable experimental spirit, which carried on without fail even in the face of extreme and difficult circumstances, that is the reason why Jasan eobo is worthy of joining the ranks as one of Korea’s classics.
Accordingly, it is hoped that this book stops not at introducing Korean and foreign readers to Jasan eobo as a natural history text, but that it becomes a stepping stone that allows the late Joseon intellectual history to be reviewed once more. This book goes beyond a simple dichotomous evaluation of Joseon Neo-Confucianism to inquire into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era’s tasks and efforts. Through this book, it is hoped that the global significance of late Joseon intellectual history is shared with even more people.
Jeong Yak-jeon, Jasan eobo, Silhak, rationalism, empiricism, study of “names, things, degrees, and numbers” (名物度數之學), Yi Ik, Yi Gyu-gyeong, Hong Dae-yong, Kang Pil-ri, Lady Yi Bingheogak, the investigation of things and the extension of knowledge (格物致知), discourse on corresponding things (齊物論), Western Learning, agriculture books
Expected Effects
It is hoped that this book will spark new discussions on the intellectual history of late Joseon and make known the efforts and scholarship of eighteenth- and nineteenth-century Joseon intellectuals. It will also be an opportunity to make known the existence of scientific books among Korea’s classics.
Book Review Recommendation
“Despite the history and influence of our academic field, the publication of an academic paper in English on Korea’s traditional science history is not a common occurrence. … In light of this, Sang-ho Ro’s recent work should be considered a rare English-language monograph that contains distinct arguments on the particular topic of Korea’s traditional science history. … To this critic, the elements of late Joseon novelty shown in this book, i.e. the new crops, utensils, recipe creations, and human-inhuman network of feedback, etc., are like new alcohol cleanly brewed by the author. Now is the time to make a new vessel by which this can be contained.”
- Excerpt from Oh Seunghyun. 2022. “Seopyeong: Sae sul eul dameul sae budae reul chajaseo” [Book Review: Seeking New Vessels to Contain New Alcohol]. Hanguk gwahak sahakhoe ji [Journal of the Korean History of Science Society] 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