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2년도 한국학진흥사업 우수성과 소개
  • 2022년도 교육부 학술·연구지원사업 우수성과 50선 중 한국학분야 4선을 소개합니다.
  •  

    <2022년 교육부 학술·연구지원사업 한국학분야 우수성과 4선>

    사업명

    (선정년도)

    성과물 제목,

    대표자

    유형

    우수성과 내용

    해외한국학

    중핵대학육성사업(2021)

    Understanding Korean Film

    (Routledge, 2021),

    Jieun Kiaer

    (University of Oxford 교수)

    저서
    저서

    한국영화를 감상할 때 교차문화연구의 관점에서 읽어낼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 실제적인 분석서이다. 한국영화 안에 담긴 한국문화와 한국어의 사회문화적 지식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였으며, K-Culture의 붐을 심화시킬 수 있는 좋은 안내서이자, 한국영상 번역에 훌륭한 가이드북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한국고전100선

    영문번역사업

    (2015)

    Neo-Confucianism and Science in Korea: Humanity and Nature,

    1706-1814

    (Routledge, 2021),

    Sang-ho, Ro

    (이화여자대학교

    부교수)

     

    저서(역서)
    저서(역서)

    서학이 도입된 이래로 조선의 사상 지형이 어떻게 변화했는지, 특히 신유학과 조선의 새로운 과학 사이의 긴장관계를 다른 영문 저서이다. 이 책은 조선 후기 과학사상을 서구적 기원의 개념들을 사용하여 국내는 물론이고 국외의 독자들에게도 조선에서 벌어진 흥미로운 지식체계의 패러다임 변화를 잘 설명해 주고 있다. 특히 정약전의 자산어보를 최초로 영역하였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가진다.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사업

    (2015)

    국역 한국근대민사 판결문 1~15,해제 목록집 포함

    (민속원, 2021),

    이승일

    (강릉원주대 부교수)

     

    저서
    저서

    접근이 어려운 법원소장 문헌을 역주대상으로 삼아 15책이라는 방대한 분량으로 완성하였다. 특히 법원도서관은 구한말민사판결문의 원문이미지 만을 제공하였는데 반해, 이 성과물은 더 많은 자료를 발굴한 다음 국역과 역주를 통해 연구자가 손쉽게 이용하도록 하였다. 이 사료를 처음 접하는 연구자들은 국역문과 원문텍스트를 교차로 읽어가면서 학습을 할 수 있으므로 한국학 후학양성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학기초자료센터

    (2018)

    강원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 (2단계),

    손승철

    (강원대학교 교수)

    DB

    강원 지역에 소장되어 있는 한국학 자료를 충실히 수집‧정리하여 연구자가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기존 연구 결과의 보완 뿐 아니라 인물과 생활, 경제와 소통, 학문과 교류 등 다앙한 주제에 부합되는 내용이 새롭게 포함되었으며, KCI 등재 학술지 논문 게재 등을 통해 후속 연구 인력 양성하는 성과도 거두었다.

  • 글쓴날 : [22-12-30 11:32]
    • ksps 기자[akssje@aks.ac.kr]
    • 다른기사보기 ksps 기자의 다른기사보기